본문 바로가기

Development

프레임워크 - 가상 머신 프레임워크(가상머신)의 시대다. 오픈소스의 열풍이 아니더라도 이미 우리는 프레임워크 안에 놀고 있다. 최근 플래쉬 액션 스크립트를 보느랴 플래쉬 플레이어에 대한 공부를 좀 하는데 아도브도 AIR를 통해 프레임워크의 경쟁에 들어간 것이 확실해 보인다. 저수준 프로토콜이 이미 존재하고 적게 나마 억세스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. 3파전이 시작된 듯하다. JVM .NET AIR 마이크로소프트의 제품이라 당연하다고 여겨질 수 있겠지만 C++ 도 메니지드 코드를 생성하고 있다는 점이 개인적으로 놀라웠다. 빗자루님의 오래 전 글을 보고 트랙백 걸어본다. 더보기
팝업창 차단 검사 방법 팝업창이 차단되면 window.open()함수는 리턴 값으로 null을 반환하므로 이를 이용해 차단 여부를 알 수 있다. 아래 내용이 팝업창 차단을 확인해 그 여부를 알려주도록 수정된 자바스크립트 코드다. 출처 http://flashcafe.org/?mid=javascript_study&document_srl=7078 팝업 객체를 변수로 가져와 Null 체크를 하게 되면 팝업창이 차단 되었는지 알 수 있다. 더보기
데이터베이스 정규화 Normalization 아직 디비 설계까지 내가 한 적이 없어서 정규화에 대한 고민을 해본적이 없지만 개판으로 짜여진 테이블을 보면서 이러지 말아야지 생각하고 있다. 정규화 Normalization 작업에 대한 간단한 요약 보통 1 정규형에서 3 정규형까지 체크한다. 이후의 단계도 있다. 제1정규형 : 주 키가 존재해야 한다. 제2정규형 : 모든 키가 아닌 컬럼은 주 키에 의존적이어야 한다. 제3정규형 : 키가 아닌 컬럼끼리 의존 관계가 존재해서는 안된다. 이정도 내용만 잘 지켜서 설계하면 욕은 안먹을 것 같다. 그 다음은 다대다 관계를 없애는 4정규화 과정이 있지만 때론 필요하기도 하다니... 그런데 다대다는 정말 좀 하지말자. 인간적으로 피곤하다...ㅜㅜ 일부러 비정규화를 하는 경우도 있다. 왜? 필요하니까... 예를 들면.. 더보기
그레일즈 한글 레퍼런스 네이버 나눔체, 다음 다음체, MS 의 Consolas체 사용한 한글2007 문서 더보기
Netbeans 와 함께 JSP 웹프로젝트 기본 - JSTL 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접근과 기본 쿼리 전송 JSP 2.0 이상의 환경에서 개발한다면 태그와 함께 톰켓이나 썬의 글래스피쉬 등의 웹 서버, 웹 컨테이너가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쉬운거 같아요. 그렇지? 커넥션 리소스 신경안써도 되고 풀도 제공해주는 영리한 컨테이너 덕에 코드를 많이 줄일 수 있다네요. 가볍게 정리해보았음! 여기에 사용된 JSTL 태그 몇개는 지난 포스트에서 살펴본 거에요. 참고~ 먼저 환경 설치는 이렇게 저는 넷빈즈에서 제공하는 번들을 통해 환경을 구축했습니다. 아래 보듯 JDK6 를 설치하고 넷빈즈 6.5 최종릴리즈 전 버전을 설치했습니다. 풀 패키지를 설치했는데 설치할 때 옵션에서 글래스피쉬를 설치했답니다. 톰켓도 있지만 기왕 썬 제품을 쓰는거 올인해보자는 생각에... ㅋㅋ JDK5 이상 JSTL1... 더보기